1월에 설정한 예산을 바탕으로 한 지출 내역이다. (3월2일에 포스팅한 지출 예산과는 별개)
1) 지출 내역 (연말정산 미반영)
네 그럼 그렇죠. -175,941원 엄청난 마이너스구요.
돈 다 어디갔냐구요? 한 번 따져보도록 합시다.
사실 이번 달의 지출에는 다 믿을 구석이 있었다. '나의 빛과 소금 연말정산'
연말정산 덕에 실질적인 마이너스는 없다는 거 ^^
2) 지출 내역(연말정산 반영)
연말정산을 반영하면, 아직 살만합니다. -25,000원 정도면 굉장히 선방한 값이죠.
일단 연말정산을 제외하고도 돈이 많이 든 곳을 살펴보면, (1) 식비 (2) 경조사비 (3) 의료건강(추가지출) 세파트다.
(1) 식비..는 확실히 끌리면 막 쓰는 편이라서 문제가 있다. 친구처럼 일주일 단위로 식비를 관리하는 것도 고민해봐야할 듯.
(2) 경조사비는 정말 어떻게 컨트롤 할 수 없는 금액이다. 생일이 많고 행사가 많으면 지나갈 수 없는 노릇이니.. 비상금으로 경조사비를 마련할 필요는 있을 듯
(3) 의료비는 사실 생각 안했었으나, 주기적으로 돌림병이 찾아오는 나에게는 예산 배치를 해둬야할 필요성을 느낀다.
근데 사실 경조사나 의료비를 커버하기에는 예산 자체가 너무 빠듯해서 어떻게 해야할 지 조금 고민이 된다. 저축&투자금을 조금 낮춰야하나는 생각도 들고.. 3월에 전체 예산을 줄이면서 한 달을 살아야하는데, 3월 지출 내역을 보고 어떻게 할 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.
3) 연말정산 : 약 35만원 지급
연말정산 사용내역은 아래 내역과 같다. 정말 통장을 스쳐지나갔다. 하하.
가족생활비 추가 | 50,000 | 2월 가족 나들이로 생활비 전체 적자, 추가 이체 |
2월 생활비 추가 | 100,000 | 식비+의료비+경조사비 |
1월 쇼핑비 결제 | 100,000 | 신용할부금 결제 (선물+쇼핑) |
데이트비 추가 | 112,350 | 놀러가서 적자였던 부분 메꿈 |
'4. 자산(資産) 주머니 > 현재를 보는 눈① - 가계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5.05 적금만기 후 목돈급여저축 (0) | 2025.03.24 |
---|---|
2025년 지출 예산 (1) | 2025.03.02 |
25.01 가계부 (0) | 2025.02.03 |
2025년 예상 수입 및 지출 리스트 (0) | 2025.01.05 |
2024년 연간 지출 되돌아보기 (0) | 2025.01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