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자격증] 전산회계2급_1일차
1. 회계원리 기초 (1)
가. 재무재표: 일정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정태적 보고서
*대차 평균의 원리 : 차변합계 = 대변합계
차변:왼쪽 => 자본 운용상태 | 대변: 오른쪽 => 자본의 조달상태 |
자산: 미래 경제적 효익 [채권,재화] 내돈 재화: 팔아서 돈되는 거 채권: 받을 권리가 있는지 |
부채: 미래 경제적 효익의 유출 [타인자본] 채무 꾼돈 자본: 자산-부채 [자기자본] 진짜 내돈 |
자산 합계 | 부채와 자본의 합계 |
나. 계정과목
자산(assets): 기업이 경영활동을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재화와 채권
단, 사용목적에 따라 계정과목이 달라짐.
ex) 차량운반구를 팔라고 샀을 때: 상품 / 사용하려고 샀을 때: 차량운반구 / 대여하려고 샀을 때: 리스
계정과목 |
내용 | |
현금 | 돈 |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지폐와 주화 및 통화대용증권 [자기앞수표 등] |
당좌예금 | 자금관리 (요구불 인출성) 저축목적X |
당좌수표를 사용할 목적으로 은행에 돈을 예입한 것 (수표어음관리, 이자가 'x') |
보통예금 | 은행에 입출금이 빈번한 여유자금을 예입한 예금 등 (이자가 'o') | |
단기금융상품 | 단기: 1년 이내 | 만기가 1년 이내의 정기예금,정기적금 등으로 은행에 돈을 예입한 것 (저축목적,이자높) |
단기대여금 | 금전을 타인에게 빌려주고, 차용증서를 받은 경우 (이자有) | |
외상매출금 | 매출채권 (상품/영업거래 多 사용) |
상품을 매출하고, 대금은 외상으로 한 경우 |
받을어음 | 상품을 매출하고, 대금을 약속어음으로 받은 경우 (만기 도래시 돈이 됨) | |
미수금 | 기타채권 (주된 영업 외 비품,건물 거래) |
상품이 아닌 물건(토지, 건물 등)을 매각처분하고, 대금은 나중에 받기로 한 경우 |
선급금 | 상품을 주문하고, 계약금조로 상품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한 금액 (계약금 일부주고 아직 물건을 못 받음. 계약이 취소되면 계약금을 돌려받으니 채권임) |
|
상품 | - | 판매를 목적으로 외부로부터 매입한 물품 |
소모품[저장품] | - | 사무용장부, 볼펜 등을 구입한 것 |
비품 | - |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책상,의자,금고,응접 셋트 컴퓨터 등을 구입한 것 |
건물 | - |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사무실,창고,기숙사,점포 등을 구입한 것 |
토지 | - |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땅을 구입한 것[운동장,주차장 등] |
차량운반구 | - |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트럭,승용차,오토바이 등을 구입한 것 (엔진이 있어 스스로 가는 것) |
부채(liabilities): 기업이 장래에 일정할 금액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는 채무
계정과목 |
내용 | |
외상매입금 | 매입채무 | 상품을 매입하고, 대금은 외상으로 한 경우 |
지급어음 | 상품을 매입하고, 대금은 약속어음을 발행한 경우 | |
미지급금 | 기타채무 | 상품이 아닌 물건[토지,건물 등]을 구입하고 대금은 나중에 주기로 한 경우 |
단기차입금 | 타인으로부터 현금을 빌리고, 차용증서를 써 준 경우 | |
선수금 | 상품을 주문 받고, 계약금조로 상품대금의 일부를 미리 받는 금액 |
<자산,부채,자본 계정과목 정리>
1. 현금 : 한국은행 조폐공사[지폐,주화] + 통화대용증권[자기앞수표, 우편환증서 등]
* 통화대용증권 = 통화 + 통화대용증권 + 요구불예금 + 현금성자산
[지폐,주화][자기앞수표 등][보통예금+당좌예금][취득일로부터 90일 이내 현금화]
2. 매출채권 = 외상매출금 + 받을 어음 : 주된 영업거래에서 사용
3. 기타채권 = 대여금+미수금+선급금 : 주된 영업외 거래에서 사용
4. 재고자산: 원재료,재공품,반제품,제품,상품,소모품5. 영업용 : 토지,건물,비품,기계장치,차량운반구 등6. 판매용 : 상품,제품7. 매입채무: 외상매입금 + 지급어음 : 주된 영업거래에서 사용8. 기타채무 = 차입금 + 미지급금 + 선수금 : 주된 영업외 거래에서 사용
다. 재무상태표 작성기준
유동/비유동의 구분 기준 : 자산과 부채는 1년을 기준으로 유동과 비유동을 구분한다. 다만, 정상적 영업주기가 1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상적 영업주기를 기준으로 구분한다.
배열방법: 유동/비유동 구분법과 유동성배열법 중에서 선택
유동/비유동구분법 : 자산과 부채를 유동항목과 비유동 항목으로 구분하되 유동항목부터 배열할 수도 있고, 비유동항목부터 배열할 수도 있음
유동성배열법: 개별항목의 유동성크기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배열
일반기업회계기준: 유동과 비유동을 구분하되, 유동성이 큰 항목부터 배열하도록 함.